• 흐림동두천 18.3℃
  • 흐림강릉 19.1℃
  • 흐림서울 19.6℃
  • 대전 19.2℃
  • 흐림대구 22.3℃
  • 흐림울산 21.6℃
  • 광주 20.6℃
  • 부산 23.7℃
  • 흐림고창 19.8℃
  • 제주 23.5℃
  • 흐림강화 19.2℃
  • 흐림보은 19.4℃
  • 흐림금산 19.1℃
  • 흐림강진군 21.5℃
  • 흐림경주시 21.9℃
  • 흐림거제 24.3℃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AU테크, 엑스트랙 폴딩 전기자전거 ‘험머’ 판매 시작

 

(시흥타임즈) 모빌리티 전문기업 AU테크가 익스트림 스마트모빌리티 브랜드 엑스트랙의 최신 모델 '험머'를 공개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험머는 엑스트랙에서 첫 번째로 선보이는 폴딩 전기자전거로 엑스트랙의 메인 라인업 중 하나를 구성하는 중요 모델이다.

전동킥보드 '썬더 듀얼'과 '크랙', 레트로 팻바이크 '몬스터S', '몬스터B'의 뒤를 이은 폴딩 전기자전거 험머는 일상생활은 물론 근거리 배달용으로 활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모델로 출시 전부터 큰 주목을 받아왔다. PAS와 스로틀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폴딩 전기자전거 험머는 최대 350W 출력을 낼 수 있는 허브 타입의 인 휠 모터가 리어휠에 장착됐으며 XOD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이 적용돼 높은 출력과 제동력을 고루 갖추고 있다. 여기에 시마노사의 7단 SIS 인덱스 변속 시스템이 적용돼 완성도를 한 층 높였다. 최대 주행 속도는 25km/h이며 25도의 등판 각도를 보여준다.

험머는 익스트림 스마트모빌리티라는 엑스트랙의 콘셉트에 맞춰 일반 도로는 물론 오프로드에서도 주행할 수 있는 타이어가 장착됐다. 험머에 장착된 켄다 엘 카포 K1221 타이어는 오프로드에 특화된 타이어로 접지력이 우수하고 펑크방지 기술이 적용됐다. 그 외에도 주행 중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는 전후방 서스펜션, 어두운 곳에서도 높은 시인성을 자랑하는 LED 헤드,테일라이트, 무거운 짐을 실을 수 있는 리어랙 등이 기본 장착돼 일상생활은 물론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근거리 배달용으로 사용하기에도 손색없는 구성을 갖고 있다.

배터리 용량과 구성에 따라 험머는 총 4가지 모델로 출시됐는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기본 내장 배터리와 프레임 위에 장착되는 추가 보조 배터리로 구분된다. 내장 배터리는 36V 7.5A, 48V 10A가, 보조 배터리는 36V 7.5A, 48V 5A로 구성됐다. 최대 주행 거리는 36V 7.5A의 경우 PAS 모드 70km, 스로틀 모드로 35km까지 주행 가능하며 보조배터리 장착 시 최대 130km, 65km로 증가한다.

엑스트랙의 첫 번째 폴딩 전기자전거 험머는 36V 7.5A 99만9000원, 48V 10A 139만8000원이며 보조 배터리 장착 모델의 가격은 추후 공개 예정이다. 또한 11월 23일 오후 8시 네이버 라이브쇼핑을 통해 험머를 만나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엑스트랙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기업하기 좋은 시흥 위한 전문가 강연 [시흥타임즈] 시흥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기업하기 좋은 시흥 만들기’(대표 박춘호 의원)이 지난 12일 7차 활동으로 전문가 초청 강연을 개최했다. 박춘호, 한지숙 의원을 비롯해 부서 관계자, 관계기관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연구원 문미성 박사와 한국공학대학교 박철우 교수의 심도 있는 강의가 진행됐다. 강연 후에는 시흥시 산업 여건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안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문 박사는 ‘시흥시 산업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강의했다. 문 박사는 시흥시 산업구조 전반과 시화국가산단, 배곧경제자유구역, 시흥광명테크노밸리 등 주요 거점별 혁신 생태계를 분석해 산업거점별 신성장동력산업을 발굴하고 혁신생태계를 고도화하는 방안들을 제시했다. 또한, 기존 제조업 중심의 성장 동력을 연구개발 및 지식서비스 중심의 신산업 유치 동력으로 전환하는 등 대책을 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설명했다. 이어 ‘시화국가산단의 한계와 극복 방안’을 주제로 박 교수의 강의가 진행됐다. 박 교수는 시화산단이 국내 최대의 소부장 집적지이나 대부분 영세한 업체로 생산성 등에서 매우 저조한 상황임을 지적하며, 자생적 비즈니스 모델 기업으로의 전환을 통해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