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유아를 위한 공연 창작개발 과정’은 시흥시가 2019년부터 전국 지자체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관내 영유아의 문화예술 향유 권리와 미래 관객 개발을 위해 첫 도입했다.
관련 전문가가 아닌 일반시민이 직접 창작의 주체가 돼 36개월 미만의 영유아 극을 완성하는 과정이다.
2019년에는 공동창작 작품 3편을, 코로나19로 대면활동이 어려워진 2020년에는 온라인 워크숍으로 전환해 영유아를 위한 1인극 14편을 개발해 크게 주목받았다.
이번 심화과정은 5월 6일부터 6월 9일까지 총 16회 차에 걸쳐 지난해 에 만든 1인극을 수정, 보완하는 과정으로 진행됐다.
대본 수정부터 시작해 동선, 움직임, 연기 등을 보완하고, 각 작품에 맞는 간단한 무대, 대소도구, 의상, 음악 등도 제작‧적용해 <쌀이 나오는 화수분 바가지>, <소금창고>, <개코 아줌마의 이야기 솔솔~> 등 총 8편의 영유아 대상 공연과 8명의 지역 전문 인력을 양성했다.
특히, 이번 과정을 통해 양성된 8명의 시민 창작자들은 영유아의 감각적 언어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기혼 여성, 여성 어르신으로, 경력단절 여성의 사회진출과 자아실현, 그리고 시민이 주도하는 생태문화도시의 가치실현까지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번에 양성된 전문 인력 중 일부는 이미 별도의 영유아 극 전문단체를 만들어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앞두고 있어 ‘영유아를 위한 공연 창작개발 과정’이 단순히 교육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생태계 조성에도 일조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시 관계자는 “3년이라는 시간동안 오직 미래세대를 위한 기성세대의 실천적 행동과 연대, 그리고 적극적인 행정적 뒷받침이 있었기에 가능한 성과였다”며, “코로나19 집단면역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올 하반기부터 관내 어린이집, 유치원, 아파트 다목적 홀 등 영유아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가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이제 막 출발선에 선 엄마배우들의 활동을 기대해 달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