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정된 사람의 심장박동 수는 60회에서 100회 정도이다. 이 범위 넘어서 심박동 수가 느려지면 서맥성 부정맥, 빨라지면 빈맥성 부정맥, 심박동이 예정보다 한 박자 빨리 나오는 것을 조기 박동이라고 한다.
보통 이러한 부정맥은 손목의 맥을 짚어 개인적으로 짐작할 수는 있으나, 정확한 치료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서 특별한 약물치료 없이 지켜보는 경우도 있지만, 반면 다른 형태의 부정맥은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서 약물을 복용하거나 시술 등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부정맥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가슴 두근거림, 가슴 통증, 어지럼증, 호흡곤란, 심한 경우 실신 및 사망까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정맥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심장의 선천적인 이상이 있거나 이 외에도 담배나 술, 카페인 등을 오랜 시간 가까이했을 경우 부정맥의 원인을 넘어 고혈압, 심근 병증까지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정맥은 꼭 치료가 필요할까? 시화병원 심장·혈관 내과의 김기창 과장은 이러한 질문에 “대부분 가끔 발생하는 부정맥은 경과를 지켜보면서 생활방식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정도에 따라서 다양한 합병증이나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꼭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어 “대체로 약물치료 정도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일부 환자는 ‘인공심장박동기’나 ‘삽입형제세동기’를 연결하는 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인공심장박동기란, 부정맥으로 인해 기절이나 실신과 같이 생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심장 내부에 전극선을 삽입하고 인공심장박동기를 연결하여 심장이 정상적으로 뛸 수 있도록 해주는 기계장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