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타임즈) 데브옵스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단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 깃랩은 프로토콜 퍼즈 테스팅 및 Dynam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 API 테스팅 분야의 보안 소프트웨어 전문회사인 피치테크와 커버리지 가이드 테스팅을 제공하는 연속 퍼즈 테스팅 솔루션 업체인 퍼지트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깃랩은 이번 인수를 통해 프로토콜 퍼징과 API 퍼징, DAST API 테스팅 및 커버리지 가이드 퍼즈 테스팅을 비롯해 완벽한 테스트 솔루션을 확장하게 된다. 이를 통해 깃랩의 데브섹옵스는 커버리지 가이드 및 동작 퍼즈 테스팅 기술을 모두 제공하는 최초의 보안 솔루션이 되는 것은 물론 깃랩 CI/CD 환경에서 이러한 새로운 제품으로 시프트 레프트 퍼즈 테스팅을 지원하는 최초의 진정한 데브섹옵스 플랫폼이 된다. 깃랩의 CEO인 시드 시브랜디는 “깃랩은 단일 플랫폼으로 완벽한 데브옵스 라이프사이클을 위한 최고의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며 “피치테크와 퍼지트의 퍼징 기술을 깃랩의 보안 솔루션에 도입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보다 강력하고 완벽한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보안 시프트 레프트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동
(시흥타임즈) 긴트가 표준개발협력기관인 한국농업기계협동조합의 표준협력개발산업 활동을 통해 농업기계 지능화, 무인화 체계 국제 표준화 활동에 참여한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한국농업기계협동조합은 5월 28일~29일 이틀간 ‘2020 표준협력개발산업 기술위원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 워크숍은 ISO TC23 전문위원회와 스마트 산업 표준 관련 전문가를 초빙해 ‘스마트 농업의 미래 방향 및 표준화 전략’을 논의했으며, 긴트는 ‘자율주행 농업기계와 농업용 로봇 트렌드 및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최근 미국·일본·유럽에서는 농업기계 자율화, 농업용 로봇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국제 표준이 구체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주도하에 지능형, 자율주행형 농업기계 및 농업용 로봇을 연계한 스마트팜 단체 표준 및 국가 표준을 우선적으로 제정하고 이를 통해 국제 표준화를 선도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또한 ISO TC23 전문위원회는 ICT 융복합 기술을 가진 업체와 국내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선진 기술을 확보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해 국제 표준에 대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또한 올해부터 블록체인, 인공지능, 정
(시흥타임즈) LS전선이 지난 16일 하이엔드 오디오 케이블, 프라이어리티 시리즈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LS전선은 2000년대 초반 LG전선 브랜드로 생산했던 OFC(무산소동: Oxygen Free Copper)케이블을 업그레이드해 새롭게 선보였다. 국내 시판 중인 OFC 오디오 케이블 중 유일한 국산 제품이다. 프라이어리티 시리즈는 케이블 도체에 99.99% 이상의 고순도 구리를 사용, 음의 전도율을 높이고 잡음을 최소화했다. 구리 속의 미미한 양의 산소와 불순물도 왜곡과 노이즈를 만들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99.99% 이상으로 정제하는 것을 기술력의 척도로 보기도 한다. LS전선은 구리 가공 기술을 활용하여 품질을 높이고 가격은 유럽과 미국, 일본 등의 수입산 대비 10~20% 정도 낮게 책정했다. 특히 이 제품들이 방송국과 극장, 음향 전문 스튜디오, 오디오 마니아 등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S전선은 소비자들로부터 과거 제품에 대한 문의가 많이 있었다며 전통적인 제조업체로 인식되는 LS전선이 수년 만에 소비재 제품을 출시, 일반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알리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프라이어리티 시리즈는 은
(시흥타임즈) LG전자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에 능통한 전문가를 육성해 제조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한다. LG전자는 지난 15일 경기도 수원시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에서 ‘제조 AI 리더 과정’ 수료식을 열었다. 이날 AI 리더로 선정된 직원 약 20명을 비롯해 LG전자 생산기술원 제조혁신센터장 김병열 전무, 성균관대학교 인공지능대학원장 이지형 교수, 인재개발원 이정환 부원장 등이 참석했다. LG전자는 성균관대학교와 협업해 2019년부터 ‘제조 AI 리더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020년는 4월부터 3개월간 진행했다. 과정 참가자는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와 시스템경영공학과 교수진으로부터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관련 핵심 이론을 교육받고 현업 데이터를 활용한 문제해결 과제를 수행했다. LG전자는 제조 분야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관련 역량이 필수라고 판단해 생산기술원 주도로 이 과정을 개발 및 진행하게 됐다. 과정 참가자들은 현업에 복귀해 실무과제를 해결하고 데이터를 활용해 제조 혁신을 수행하게 된다. LG전자는 생산기술의 디지털화를 위해 제조 AI 리더 과정을 포함해 데이터 분석, 머신
(시흥타임즈) 머신비전 전문기업 뷰온은 자사의 고광택 검사 솔루션 ‘서피인스펙트’가 ‘Vision Systems Design 2020 Innovators Awards’에서 수상했다고 밝혔다. ‘비전 시스템 디자인 2020 혁신가 Awards’는 전 세계 비전 시스템의 최신기술, 응용 프로그램 및 서비스 동향을 분석 제공하는 전문 매체인 Vision Systems Design(www.visionsystems.com)이 수여하는 상이다. 이 상은 제품과 서비스의 독창성, 혁신성과 신기술을 활용해 생산성에 큰 기여를 한 제품을 대상으로 전 세계에서 매년 치열한 경쟁을 통해 선정이 되며, 머신비전 업계에서는 그 권위를 높이 평가하는 상이다. 뷰온은 머신비전 분야에서 특허 등록된 라인스캔기반 고광택 검사기술인 ‘서피인스펙트’로 고속 제조라인에서 고광택 제품의 실시간 검사기술을 상용화했다는 점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됐다. 윤영엽 뷰온 CTO는 “이번 수상을 통해 시장에서 뷰온의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아 기쁘고, 앞으로 머신비전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차별화된 기술개발로 머신비전의 새 기준을 만들어나가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한편 ‘비전 시스템 디자인
(시흥타임즈) ‘유데브앱’이 유니티를 활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강의 콘텐츠를 소개하고 후속 강의 제작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을 7월 13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프.알.못’이란 말도 있듯이 일반인에게 게임 프로그램을 만들어 실행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무엇보다 암호와 같은 코드의 나열을 시각적으로 연상해내는 일이 어렵기에 게임을 만들 때는 보통 게임엔진을 학습해서 사용하는 것이 요즘 추세다. 이 게임 엔진 중 제일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로 ‘유니티’ 프로그램이다. 최근 이 유니티를 활용해 초보자도 쉽게 게임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도록 돕는 강의가 있어 이목을 끈다. 유데브앱은 기존에 프로그래밍이 어려워 쉽게 게임 만들기에 도전할 수 없었던 일반인들을 위한 강의를 배포했으며 이 강의는 비전공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코드의 내용을 시각화해 설명함으로써 프로그래밍 강의에 대한 학습력을 증대시켜 주고 있다. 이런 유데브앱이 자사의 유니티를 활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강의 콘텐츠들을 소개하고 후속 강의 제작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을 실시하고 있다. 유데브앱의 후속 강의 커리큘럼은 크게 ‘유니티로 배우는 C# 프로그래밍’과 ‘유니티로 배우는 슈팅게임 개발
(시흥타임즈) 다나와컴퓨터는 정보통신기술 전문 종사자들에게 적합한 고성능 브랜드 라인 ‘하이퍼포먼스 데스크톱PC’ 4종(HTC7-1000, HTC9-1000, HTR7-1000, HTR9-1000)을 출시한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품목은 조달청이 운영하는 공공기관 물자 구매처 ‘나라장터’에 등록돼 수요가 있는 기관 및 부처에 공급될 예정이다. 다나와컴퓨터의 하이퍼포먼스 데스크톱PC 4종은 인공지능, 딥러닝, 빅데이터 처리, CG 렌더링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에 적합한 구성으로 개발됐다. 지포스 RTX 20 시리즈, NVMe SSD, 최대 64GB의 DDR4 메모리가 탑재됐으며 CPU는 모델에 따라 각각 9세대 인텔 코어 KF 프로세서와 AMD 라이젠 3세대 프로세서의 최고사양 제품이 탑재됐다. 또 모든 제품에는 하이엔드 커스텀PC 수준의 수냉 쿨링 시스템이 적용돼 저소음 고효율의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다나와컴퓨터는 나라장터에 i3 또는 i5 급의 보급형 또는 기본 업무용 제품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고성능 PC의 공급은 상대적으로 적어 전문 ICT 활용이 필요한 기관 종사자들이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최근 온라인
(시흥타임즈) GNSS RTK 전문기업 씨너렉스는 문화방송(이하 MBC)과 함께 MBC RTK 기반의 드론용 초정밀 위치정보 시스템인 MRP-2000 UAV Kit을 시장에 출시하고 본격적인 홍보 및 판매를 시작했다. 이번에 출시하는 GNSS RTK 수신기(모델명 ‘MRP 2000 UAV Kit’)는 초정밀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처리하는 단말기로 별도의 GNSS 기준국을 매번 설치할 필요 없이 MBC가 구축한 전국 단위 GNSS 기준국의 인프라를 활용해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GNSS RTK 단말은 MBC의 RTK 중앙 제어 시스템을 통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이동통신망에서 전송하는 위치 보정 정보를 이용해 2~3㎝ 단위의 정밀 항법이 가능하다. 이 단말기는 드론 개발 전용 비행통제장치인 ‘픽스호크’와 호환되며 추가로 컴퍼스를 함께 제공해 단말 활용의 효율성을 높였다. 특히 GNSS RTK 외에 PPS(Pulse Per Seconds) 신호를 제공해 디지털 이미지 처리를 위한 라이다 및 카메라 등과 연동을 통해 작업 시간을 크게 줄여 준다. 6월 1일 국내 드론 산업
(시흥타임즈) 그린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농촌진흥청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2011~2019)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단 연구성과로 창출된 대량 특허 성과들을 검색이 용이한 ‘특허 DB’로 신규 구축했다. 이를 국내 농생명바이오산업 분야 수요기업/기관/연구자들에게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단 TLO(technology licensing office) 홈페이지(http://ssac-tlo.or.kr)를 통해 공개한다. ‘세계 최강의 그린바이오 농업강국 구현’을 목표로 대사제어공학 및 시스템합성생물학 원천기술 연구를 수행하는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단은 9년간의 연구성과로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 생산 슈퍼농생물체 관련 특허와 노하우 기술들을 대량 확보하고 있으며, 기술 이전을 통한 성과 확산을 기다리고 있다. 그린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시스템합성농생명공학사업단 TLO 홈페이지에 키워드로 쉽게 검색할 수 있는 ‘특허 DB’ 이외에도, 의약학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원료, 소재, 진단, 분석 등 국내외 농생명바이오산업 분야에서 도입하여 산업화 가능한 기술을 선별, 기술 패키징하고 SMK로 제작, TLO 추천 기술로 공개하고 있다. 수요기업/기관/연구자들은 홈페
(시흥타임즈) 모바일 푸시 및 통합메시징 시스템 전문기업 티젠소프트가 도미노피자 ‘모바일앱 푸시 기능 개선 및 요금체계 변경’ 사업에 모바일 푸시 솔루션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도미노피자는 회원이 큰 폭으로 증가해 고객 알림 메시지 전송량 또한 크게 증가하게 됐다. 기존에 유료로 사용하던 메시지 전송 체계를 무료 푸시 메시지 전송 시스템 체계로 변경하기로 하고 서비스 운영상의 원가 절감을 위해 티젠소프트의 모바일 푸시 솔루션을 도입·구축했다. 도미노피자의 이번 사업은 티젠소프트의 모바일 푸시 솔루션 구축을 통해 안정적인 모바일 고객 서비스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티젠소프트의 모바일 푸시 솔루션은 앱 설치자 중 푸시 수신 동의 대상자에게 주문/포장/배달 진행 상황, 생일 쿠폰 등 이벤트 안내 및 등급 변경 알림 메시지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대량 전송할 수 있는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이번 사업에 도입된 티젠소프트의 모바일 푸시 솔루션은 GS인증 1등급 획득 소프트웨어로 고객사 환경에 맞는 구축을 지원하고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에 납품돼 안정성 및 사용성을 고객으로부터 인정받은 솔루션이다. 또한 기간망 시스템 연계 푸시전송을 위한 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