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획/특집

햅쌀 집에서 직접 해 먹는다

[인천국제환경기술전에서 만난 사람들] 기룡테크

가정·업소형 소형 도정기 통해 신선한 쌀 제공

 

 

우리가 먹는 주식, ‘’.

 

이 우리 식생활에 있어 차지하는 비중은 말할 필요도 없다. 특히, 밥은 사람이 생활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건강에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5일 개최한 2010 인천국제환경기술전에서는 가정에서 직접 벼를 도정해 현미밥을 해 먹을 수 있는 기술이 소개돼 관심을 끌고 있다.

 

()기룡테크(대표 장홍일·48)에서 제작·보급하고 있는 방아틀제품은 가정에서 직접 벼를 도정해 신선한 쌀을 빠른 시간에 공급받을 수 있게 했다.

 

장홍일 대표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먹고 있는 쌀은 건강하지 않은 쌀이라며 쌀을 통해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음에도 (사람들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벼는 도정과 동시에 산화가 시작돼 15일이면 산폐가 되어 필수 영양소가 사라지고, 나중에는 탄수화물 덩어리가 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는 이런 쌀을 소비할 경우 비만과 성인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현미백미에도 영양소에 엄연한 차이가 있다고 설명한다.

 

벼를 도정해 1차로 생산되는 현미에는 약 95% 정도의 영양소가 남아있지만 백미는 수차례의 도정과정을 거쳐 5%의 영양소만 남는다는 것이다. 그 것마저도 소비자의 손에 닿을 때 쯤이면 영양소는 이미 사라진 후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현미를 접하는 것은 쉬운 선택이 아닌 것이 사실. ‘백미에 비해 현미가 가격적으로 더 비싸기 때문.

 

이는 현미의 산폐가 백미에 비해 빠른 이유가 원인이라는 것이 장 대표의 설명이다. ‘현미의 산폐 기간은 7일인 것에 비해 백미의 산폐는 15일인 것이 유통과정의 부담으로 작용해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다는 것이다.

 

장 대표는 이런 문제를 소비자들이 보다 손쉽게 해결하기 위해 가정에서 직접 도정할 수 있는 소형 도정기를 개발해 내놓았다.

 

이 제품이 각종 시행착오를 거쳐 완성된 것은 지난해 5. 장 대표는 이후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제품의 질을 높이는 데 주력했고, 이달 중 본격출시를 앞두고 있다.

 

무엇보다 이 제품은 제품 디자인과 가격대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도정기라는 이름 자체만을 들을 때 투박한 디자인을 생각하는 이들이 많겠지만, 이 제품은 기능 뿐만아니라 디자인에도 신경 쓴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가격대도 소비자가 부담을 갖지 않을 정도의 적정 가격을 책정했다.

 

이 제품의 도정 능력은 1인분 기준으로 20초 정도의 시간으로 짧은 시간 안에 현미를 얻을 수 있다.

 

장 대표는 현미가 사람들의 건강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는 일반인들도 인식하고 있다라며 가족들의 건강을 챙긴다면 부터 생각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기륭테크의 소형 쌀 도정기 방아틀은 이달 5일부터 8일까지 개최되는 2010 인천국제환경기술전(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확인할 수 있다.(제품문의: 032-773-1365)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산진원이 지원한 스타트업 '엘피텍' 해외 진출 [시흥타임즈] 시흥산업진흥원 시흥창업센터에 입주한 ㈜엘피텍이 ‘티칭리스(Teaching-less) 그리퍼’ 기술의 해외 수출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 9월 23일 「2025년 기계‧로봇산업 발전 유공」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대상자로 최종 선정됐다. ㈜엘피텍은 2023년 시흥창업센터에 입주한 로봇 전문 스타트업으로 복잡한 프로그래밍 없이도 다양한 제품을 자동으로 파지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 그리퍼를 개발해왔으며, 시흥산업진흥원은 제품 개발 초기부터 기술 검증, 시제품 제작 등 기술지원과 더불어 해외전시회 참가지원을 통한 수출판로 개척지원으로 기업의 성장을 적극 뒷받침했다. 그 결과 불과 2년 만에 기술 완성도와 품질 경쟁력을 인정받아 아시아 및 유럽 시장으로의 첫 수출 계약을 성사시켰으며, 이러한 성과는 국내 창업 지원기관과 기술 스타트업의 우수 사례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엘피텍 박형순 대표는 “시흥산업진흥원의 체계적인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과 현장 중심의 멘토링이 해외 진출의 발판이 되었다”며 “앞으로도 한국 로봇 기술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혁신을 멈추지 않겠다”고 밝혔다. 임창주 시흥산업진흥원장은 “앞으로도 기술기반 스타트업의 스케일업과 글로벌 진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