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3.2℃
  • 구름많음강릉 26.8℃
  • 흐림서울 23.4℃
  • 구름많음대전 22.3℃
  • 구름많음대구 22.9℃
  • 구름많음울산 21.1℃
  • 구름많음광주 22.6℃
  • 구름조금부산 21.9℃
  • 흐림고창 22.4℃
  • 구름많음제주 20.7℃
  • 흐림강화 21.2℃
  • 흐림보은 19.6℃
  • 구름많음금산 22.5℃
  • 구름많음강진군 22.4℃
  • 구름많음경주시 24.0℃
  • 구름조금거제 23.6℃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시흥시, '2022년 사계절 오이도' 영상에 쏙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지난 2022년 봄부터 1년간 오이도의 어촌과 어민들의 생활 모습과 삶을 담은 사계 촬영을 진행했다.

이에 지난 20일 오이도 어촌계 회의실에서는 당인상 오이도 어촌계장, 양학봉 옹진 수협오이도지점장과 오이도 어업인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모여 ‘오이도 어촌 사계 촬영’ 최종보고회를 열고, 촬영 진행 결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이날 보고회를 통해 ‘2022년 봄에서 겨울까지’ 계절 흐름대로 오이도의 생생한 삶의 현장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오이도의 봄’은 맨손어업자들이 함께한 갯벌 풍경에서 시작된다. 작은 구멍만 보고도 우럭조개, 굴, 낙지 등을 잡는 모습과 어업인의 소득 증대를 위해 시에서 동죽 치패를 살포하는 모습이 생생히 담겨 있었다. 

‘오이도의 초여름’에는 수산자원 증대를 위해 넙치(광어) 치어를 방류하고, ‘오이도의 한여름’에는 관광객들의 조개잡기 갯벌체험 오이도 갯벌이 북적이는 모습을 담았다. ‘오이도의 가을’에는 맨손어업자들의 민챙이 잡기와 어선어업자들의 꽃게 조업 활동을, ‘오이도의 겨울’에는 만선을 기대하며 도다리를 잡으러 떠난 어선과 오이도에서 직접 잡은 수산물을 판매하고 있는 오이도 수산물 직매장 상인들의 노고가 담겨 있었다.  

한때  ‘옥귀섬’이라고 불리던 오이도에는 염전으로 사용하던 갯벌과 암반으로 이뤄진 터전에 배다리 등 자연마을이 있었으나, 대규모 간척사업과 각종 개발 사업으로 지형부터 큰 변화가 있는 어촌으로, 개발 전의 오이도와 현재의 오이도는 같은 곳이라 볼 수 없을 정도로 급변했다. 

특히 이번 촬영은 삶의 터전이 많이 변화된 오이도에서 남은 어민들의 현재와 미래의 삶을 조망한 것이라 의미가 크다.

오이도 어촌 사계 촬영물은 향후 시흥시 SNS(누리소통망)를 통해 시민들도 볼 수 있도록 배포하고, 시의 영상 출력 매체를 통해 송출할 예정이다.
 
이정수 시흥시 해양수산과장은 “오이도의 1년을 생생하게 담은 오이도 어촌 사계 영상은 오이도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다른 계절의 오이도는 물론, 과거의 오이도까지 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흥미와 재미를 유발한다. 향후 10년, 20년이 지났을 때 과거 2022년의 오이도의 모습을 생생하게 볼 수 있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 영상이 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도 시는 영상을 통해 오이도의 모습을 꾸준히 기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포토] 은계지구 학교 수돗물 긴급 점검…"급식 식수에 이물질 없어"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시흥시 은계지구 상수도관 이물질 유입과 관련해 24일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시흥갑) 국회의원이 시흥교육청, 시흥시청, 지역구 시·도의원들과 함께 지구 내 학교 급식시설의 수돗물을 긴급 점검했다. 오전 7시부터 시작된 현장 점검은 은빛초, 은계유치원, 은계중, 웃터골초, 검바위초 순으로 진행됐으며, 각 학교 급식시설 내부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받아 여과지를 통과시키며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를 주로 살폈다. 또 외부에서 연결되는 계량기를 열어 거름망에 에폭시 등 이물질이 있는지도 관찰했다. 점검 결과, 학교 급식시설에서 받은 수돗물에선 이물질 등이 전혀 발견되진 않았다. 외부 계량기에 설치된 거름망에서도 특이점은 없었다. 다만, 웃터골초와 검바위초 등에선 계량기 거름망에 오래된 것으로 보이는 이물질 등이 소량 발견됐다. 웃터골와 검바위초는 은계지구 입주 이전부터 사용하던 상수도관이라 오랜 기간 퇴적된 이물질이 쌓인 것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은계지구 아파트단지 상수도관에서 발견되는 에폭시 등 다량의 이물질이 학교와 연결된 상수도관에선 발견되지 않아 정밀한 조사를 통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을 밝혀야 할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