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시흥시, “청년정책위원회” 위촉

청년과 함께 정책 만든다

(시흥타임즈=우동완 기자) 청년들의 공식적인 소통창구이자, 청년정책을 마련함에 있어 심의‧의결 기능을 가진 시흥시 청년정책위원회가 지난 4월 30일 오후 6시 시흥ABC행복학습타운에서 위촉식을 가졌다.

청년정책위원회는 지난 3월에 공개모집을 통해 서류와 면접심사를 거쳐 총 12명이 선발되었다. 

『시흥시 청년 기본 조례』가 청년문제의 당사자인 청년들이 직접 앞장서, 주민발의로 제정된 만큼 시흥시 청년정책을 수립‧시행함에 있어 청년정책위원회 청년위원이 시정의 파트너로 의제발굴부터 정책전반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해나갈 예정이다.

이 날 위촉식과 함께 청년정책위원회 위원과 지역 청년활동가가 시정에 참여함에 있어 국가재정 및 지방재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량을 함양해나갈 수 있도록 <청년자치학교_Session 1. 재정아카데미>를 개강하였다. 

좋은예산센터 센터장이자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인 김태일 교수가 “예산을 알아야, 정책이 보인다!, 주머니에서 나간 내 돈의 행방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특강을 펼쳤다. 
앞으로도 재정아카데미를 통해 “2016년 예산 청년정책 관련 부처예산 분석”을 비롯하여, “주민참여예산”까지 시책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워크숍 형태의 다양한 교육을 지원해나갈 방침이다.

시흥시에 따르면 작년 연말 청년정책 네트워크를 통해 청년의 목소리를 모은 내용을 기초로, 청년들이 지역을 기반으로 삶의 터전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참여, 교육, 문화, 고용, 신용, 주거, 복지라는 7가지 핵심키워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C.o.P(실행공동체)형태의 학습모임을 통해 청년, 공무원, 전문가가 함께 정책 설계를 해나갈 예정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청년의, 청년에 의한, 청년을 위한 <2020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지역을 기반으로 청년활동을 영위해나가고 있는 다른 지역의 청년들과의 문화‧정책 교류를 통해 청년들이 서로 네트워킹 하는 과정에서 배우고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김윤식 시흥시장은 “청년들이 지역을 기반으로 삶의 터전을 만들어나감에 있어, 행정은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원칙하에, 단순 일자리 정책을 넘어 지역 실정에 맞는 사회정책으로 청년위원들과 함께 청년문제 해법을 강구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제11회 시흥시 주민자치 문화경연대회'서 능곡동 대상 [시흥타임즈] 지난 27일 시흥시청 늠내홀에서 열린 ‘2025년 제11회 시흥시 주민자치 문화경연대회’에서 능곡동이 대상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에는 관내 총 14개 동(대야ㆍ신천ㆍ은행ㆍ매화ㆍ정왕본ㆍ정왕2ㆍ거북섬ㆍ배곧1ㆍ배곧2ㆍ과림ㆍ연성ㆍ능곡ㆍ월곶ㆍ장곡) 주민자치센터 문화프로그램팀이 참가했다. 14개 경연참가팀은 주민자치위원, 일반시민 등 350여 명이 함께한 열띤 응원 속에 난타, 댄스, 노래, 악기 연주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프로그램으로 열띤 경연을 펼쳤다. 영예의 대상은 ‘홀로아리랑’ 기타 연주를 선보인 능곡동의 ‘한울타리’팀에게 돌아갔다. 최우수상은 은행동 ‘천지개벽’팀, 우수상은 매화동의 ‘떳다! 호조벌 그녀들’팀과 장곡동의 ‘춤자락 무용단’팀이 차지했으며, 장려상은 그 외 10개 팀이 수상했다. 능곡동 한울타리팀은 작품의 완성도와 구성원 간 조화 및 일치성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대상을 수상하면서 내년도 경기도 주민자치 문화경연대회에 시흥시 대표로 참가할 수 있는 출전권을 부여받았다. 시 관계자는 “주민자치회 위원들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덕분에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게 돼 감사드린다”라며 “앞으로도 20개 동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