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미국을 사로잡은 '시흥의 짚풀공예'

[시흥타임즈] 한때 주거는 물론, 생활 속 곳곳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됐던 짚풀이 시대적 흐름과 조류에 맞춰 새로운 친환경 예술품으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시흥시(시장 임병택)에 소재한 시흥시향토민속보존회(대표 김이랑)가 그 대표 주자로, 시흥과 국내를 뛰어넘어 미국에 이르기까지 그 지평을 넓혀가는 중이다.

시흥시향토민속보존회는 미국 메릴랜드주 하워드카운티 관광청의 초대로 현지에서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한 달간 짚풀공예전시전을 개최하고 있다. 

전시회에는 빗자루, 둥구미, 똬리, 시루받침 등의 생활공예품과 벽, 테이블 등에 장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데코 오브제 70여 점을 전시해 생활형 도구와 인테리어 소품으로써의 기능을 넘나드는 짚풀공예의 다양한 변신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전시회 개막식에는 메릴랜드 주지사 부인을 비롯해 하워드카운티 군수, 워싱턴 총영사, 엘리콧시티 하원의원 등 내빈들이 참석해 전시회를 더욱 빛냈다.

한국의 전통문화를 알리기 위한 국제문화교류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한국형 가요나 드라마, 음식 등과 아울러 한국전통문화의 멋과 향기를 느낄 수 있는 한국형 전통문화 전도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세계적 관심사인 환경문제와 관련해 예술과 환경의 공존과 발전이라는 가치에 걸맞은 친환경 예술로서의 짚풀공예 위상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
   
김이랑 시흥시향토민속보존회 대표는 전시회 개최와 관련해 “미국에 우리의 전통문화를 선보이는 문화사절단이 된 것에 큰 책임감과 뿌듯함을 느끼며, 작품 활동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우리 전통문화를 알리고 시를 홍보한다는 측면에서 보람과 자긍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짚풀공예가 전통문화의 커다란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국내외에 더욱 많이 보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소감을 전했다.

한편, 시흥시향토민속보존회는 짚풀공예 명장이며, 국가숙련 기술전수자인 김이랑 대표를 중심으로 2017년부터 매년 시흥시 짚풀공예공모전(시흥시 전통전승 공모사업)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호조벌 30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호조벌 기념사업과 ‘전국 짚풀공예대전’도 진행할 예정이다.  

문의 사항은 시흥시 문화예술과(031-310-6703) 및 시흥시향토민속보존회(031-312-4345)로 하면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에 모인 전국 여성 CEO, 경영 연수로 네트워킹 강화 [시흥타임즈] 지난 24일~25일 서울대 시흥캠퍼스와 거북섬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여성 CEO 네트워킹 행사인 ‘2025년 전국 여성 CEO 경영 연수’가 성황리에 열렸다. ‘전국 여성 CEO 경영 연수’는 전국 여성 경제인의 경영 역량 강화와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1999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올해 행사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하고 한국여성경제인협회가 주관했으며, 경기도와 시흥시가 후원했다. ‘다시 성장하는 대한민국, 326만 여성기업이 앞장서겠습니다’라는 강령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노영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고영인 경기경제부지사, 임병택 시흥시장, 오인열 시의회 의장 등 주요 내빈과 더불어 전국 여성 CEO 1천여 명 등이 참석해 열기를 더했다. 행사는 비전 선포 세리머니를 시작으로, 시흥시 소개, 특별강연과 여성기업 경영 우수사례 홍보영상 시청으로 이어졌다. 또한, 시흥시ㆍ시흥산업진흥원 사업 홍보부스와 여성기업 제품전시 홍보부스, 경영 애로 관련 상담창구도 함께 운영돼 시흥시와 여성기업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장이 마련됐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시는 지난해 바이오 특화단지 지정을 바탕으로 바이오ㆍ인공지능(AI) 첨단산업 중심 미래 혁신의 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