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0.5℃
  • 맑음강릉 3.5℃
  • 맑음서울 2.0℃
  • 맑음대전 2.1℃
  • 맑음대구 5.1℃
  • 맑음울산 2.6℃
  • 맑음광주 2.4℃
  • 맑음부산 5.3℃
  • 맑음고창 -1.1℃
  • 맑음제주 5.8℃
  • 맑음강화 -0.9℃
  • 맑음보은 1.8℃
  • 맑음금산 1.2℃
  • 맑음강진군 1.9℃
  • 맑음경주시 1.1℃
  • 맑음거제 3.4℃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투썸플레이스, 홀리데이 시즌 모델 발탁… 고민시와 함께 겨울 장악 나선다

매 시즌 업계를 압도하는 화제성으로 마케팅 활동 펼쳐온 투썸, 인상적인 연기력 선보이며 라이징스타 1위 고민시 기용
11월 초 홀리데이 광고 캠페인 영상 전격 공개… 고민시만의 강렬한 눈빛 담아 겨울을 장악할 ‘스초생’의 매력 알릴 것

 

 

(시흥타임즈)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 투썸플레이스(대표이사 문영주)가 겨울을 앞두고 시그니처 케이크 '스초생(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의 모델로 배우 고민시를 발탁했다고 밝혔다. 

 

투썸플레이스는 브랜드 전속 모델이나 단순히 모델의 화제성을 넘어 제품의 매력과 어울리고 잘 살릴 수 있는 모델을 기용하는 방식으로 디저트,카페 업계에서 독보적인 마케팅 활동을 선보여왔다. 

 

이번 겨울 시즌을 투썸플레이스와 함께하게 된 배우 고민시는 드라마, 영화는 물론 예능 프로그램까지 전방위로 활약을 펼치며 시청자에게 완벽하게 자리잡은 '라이징 스타'로, '스초생'의 다채로운 매력과 부합해 투썸의 모델로 발탁됐다. 고민시는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강렬하고 인상적인 연기를,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성실하고 솔직한 MZ 모습을 보여주는 '반전 매력'으로 주목받는 배우다. 최근 화제였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아무도 없는 숲속에서'에서 과감하고 광기 어린 연기를 펼치다가도 tvN 예능 '서진이네2'에서는 똑 부러지게 일하며 '황금 인턴'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투썸플레이스는 이러한 고민시의 독보적인 분위기와 다양한 이미지가 '스초생'의 고급스럽고 진한 초콜릿 맛, 딸기가 가득 올려진 화려한 비주얼과 어울릴 뿐만 아니라 홀리데이 시즌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로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투썸플레이스의 브랜드 이미지와도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투썸플레이스는 오는 11월부터 고민시와 함께하는 TV광고와 함께 대대적인 '스초생' 홀리데이 광고 캠페인을 전개한다. 이번 광고에서는 기존에 볼 수 없었던 고민시의 매력적인 모습과 함께 '크리스마스=스초생'이라는 공식을 공고히 하며 겨울 내내 사랑받는 대표 케이크로서 '스초생'의 매력을 알릴 계획이다. 고민시와 '스초생'이 함께한 광고는 오는 11월 초 티저 영상이 공개되며, 11월 22일에는 광고 본편을 TV를 비롯한 각종 전방위 매체에서 만나볼 수 있다. 

 

투썸플레이스는 예능과 브라운관을 넘나들며 팔색조의 매력을 뽐내는 고민시와 홀리데이 시그니처 '스초생'이 만들어낼 시너지가 기대된다면서 다가오는 겨울, TV 광고를 시작으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선보일 '스초생'과 고민시의 '황금 케미'에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시 클린에너지센터, 친환경에너지 모델로 '주목' [시흥타임즈]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중요한 가운데, 시흥시 클린에너지센터가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8일 싱가포르 지속가능환경부 기후변화 대표단은 우리 외교부 대표단관 함께 시흥시 클린에너지센터에 방문해 친환경 에너지 생산 및 폐기물 감량화 처리 시스템을 견학했다. 이번 방문은 3월 17일부터 이틀간 개최된 제10차 한(韓)-싱가포르 기후변화대화에 싱가포르 지속가능환경부 기후변화 대표단이 참석하면서 성사됐다. 시흥시 클린에너지센터는 하수찌꺼기, 음식물류 폐기물, 분뇨를 통합 처리하는 선도적인 바이오가스화 시설이다. 폐기물 감량화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활용해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에너지원으로 공급함으로써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거두고 있다. 시흥시 클린에너지센터의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하루 약 3만Nm³(노멀세제곱미터ㆍ섭씨 0도 1기압에서의 기체 부피 단위)이며 이는 약 2천9백만 그루의 나무가 1년 동안 흡수하는 CO₂량인 약 19만 톤의 CO₂ 저감효과를 가진다. 이곳에서 정제된 연간 460만Nm³의 바이오가스는 도시가스로 공급되는데, 이는 연간 8,283가구가 난방 및 취사에 활용할 수 있는 양이다. 유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