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최근 민생 안정과 소비 진작을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국힘 시의원들은 21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정책 명분은 있으나 실상은 중앙정부의 횡포적 행정”이라며 “시흥시가 이 사업으로 인해 부담하게 될 시비만 약 1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시흥시는 현재 교통, 환경, 복지, 교육기반시설 등 필수적인 분야에 예산 수요가 집중돼 있는 상황”이라며 “대규모 재정 부담은 시 재정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시민의 삶의 질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앙정부가 국비 일부만을 편성한 뒤 지방의 자부담을 전제로 정책을 강행하는 것은 사실상 ‘빚을 내서라도 정책에 참여하라’는 압박과 다름없다”며 “이러한 구조는 지방자치의 자율성과 재정 건전성을 심각하게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에 세 가지 사항을 강력히 요구했다. ▲첫째, 기초지자체에 일방적인 부담을 전가하는 현행 국비·지방비 매칭 방식의 즉각 중단 ▲둘째, 소비쿠폰 사업의 전액 국비 전환 ▲셋째, 향후 모든 전국 단위 정책 수립 시 지방 재정 실태를 반영한 사전 협의와 예산 분담 구조 마련 등이다.
또 “시흥시는 결코 중앙정부의 하청 행정기관이 아니다”라며 “자치분권은 선언이 아니라 실천으로 증명되어야 하며, 기초지자체의 재정 자율성은 헌법적 가치”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국힘 시의원들은 “60만 시흥시민의 삶과 시 재정의 건전성을 지키기 위해 무책임한 정책 강요에 단호히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