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선거

[4·10 총선] 시흥시 어땠나... 시흥갑·을 '진보진영 공고'

시흥갑 정치 지형 변화
시흥을 여전히 진보 공고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지난 10일 실시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시흥시 갑·을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당선됐다. 


시흥갑에선 재선에 도전하는 문정복 후보가 상대 후보인 국민의힘 정필재 후보를 22.54%(3만 2859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됐다.

지난 2020년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민주당 문정복 후보가 통합당 함진규 후보와 6.8%(9,058표) 차이로 당선된 것을 보면 이번 선거에서 약 3배가 넘는 표 차이를 기록한 것이다. 

또 문 후보는 경기도 내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최다 득표율로 진보진영이 더욱 공고해졌음을 보여줬다. 

지난 20년 21대 총선과 이어진 22년 20대 대선, 그리고 이번 22대 총선을 거치며 시흥갑 선거구의 정치적 지형 변화는 뚜렷하다.

이는 수도권 신도시가 갖는 특성(연령, 소득, 학력 등)과 정치 성향을 그대로 반영하고 것으로 은계·장현·목감 신도시가 입주를 마치며 그간 총선에서 1만 표 이하의 격차로 팽팽했던 양 진영간 지형이 진보진영에 유리한 쪽으로 재편됐다는 평가다. 


시흥을 선거구는 전통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분류 돼왔다. 지난 2020년 21대 총선에선 민주당 조정식 후보가 통합당 김승 후보와 35.4%(3만 6570표)의 큰 차이로 압승을 거둔 바 있다.

그러나 이번 22대 총선에서 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힘으로 출마한 3선 시장 출신 국민의힘 김윤식 후보의 추격은 심상치 않았다. 

10일 개표 결과 민주당 조정식 후보는 56.53%를 득표, 39.56%를 득표한 국민의힘 김윤식 후보를 16.97%(2만 1379표) 차이의 적지 않은 격차로 따돌렸다. 

하지만 조 후보와 상대 진영 후보가 겨룬 역대 선거 중 지난 18대 총선에 나선 한나라당 김왕규 후보(격차 9.71%) 이후 가장 적은 격차를 보인 선거로 기록됐다. 

한편, 이번 선거를 통해 6선에 성공한 조정식 당선인은 국회의장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면서 진영의 거물로 자리를 굳혔고, 시흥을 선거구 역시 진보진영이 여전히 공고함을 재차 확인시켰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임병택 시장, 중국 길림시 방문· 동북아 국제회의 참석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8월 24일부터 27일까지 3박 4일 일정으로 중국 길림시를 공식 방문해, 동북아 지방정부 협력 네트워크 강화와 지역 간 실질적 교류 확대에 나선다. 이번 방문은 2013년부터 이어온 양 도시 간 교류 협력 관계에 따른 길림시의 공식 초청으로 마련된 것으로, 임병택 시장을 단장으로 총 5인으로 구성된 대표단이 참석한다. 대표단은 25일 길림시와의 시장 간 상견례와 환영 오찬, 행정서비스센터 시찰, 송화강 경제 체험 등을 통해 도시 간 실질적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특히, 일정 중에는 8월 26일 장춘에서 열리는 ‘제4회 동북아시아지방협력원탁회의’와 8월 27일 열리는 ‘제15회 동북아시아박람회’에 함께 참석해, 동북아 6개국(한국ㆍ중국ㆍ일본ㆍ러시아ㆍ몽골 등) 지방정부 대표들과 함께 정책 협의ㆍ경제 교류ㆍ문화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또한, 지역 경제와 산업의 국제적 교류를 촉진할 네트워킹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이번 길림시 방문을 통해 동북아 주요 도시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 시흥시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경제·문화·교육·청소년 분야에서 실질적인 교류 확대를 모색해 장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