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6℃
  • 맑음강릉 6.7℃
  • 맑음서울 5.3℃
  • 맑음대전 1.1℃
  • 맑음대구 0.2℃
  • 맑음울산 6.4℃
  • 맑음광주 8.7℃
  • 맑음부산 11.0℃
  • 맑음고창 9.1℃
  • 맑음제주 8.5℃
  • 맑음강화 5.5℃
  • 맑음보은 -2.4℃
  • 맑음금산 -1.3℃
  • 맑음강진군 1.7℃
  • 맑음경주시 -1.6℃
  • 맑음거제 4.3℃
기상청 제공

지방선거

[6·1 지방선거] 안기호 국민의힘 시의원 후보 "오직 시민과 시흥을 위해"

시흥시 라선거구(월곶동, 군자동, 정왕본동, 정왕1동, 정왕2동) 안기호 후보 출마의 변
기호: 2-나

[시흥타임즈] 시흥타임즈는 오는 6월 1일 치러지는 제8회 지방선거에 출마한 지방의원 후보들의 출마의 변을 게재합니다. 유권자들의 알권리를 위해 출마의 변과 프로필을(이메일: estnews@naver.com) 보내주시면 본지 지방선거 카테고리를 통해 알리도록 하겠습니다. 

[안기호 국민의힘 시흥시의원 후보 '출마의 변']


6월 1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에 시흥시 라선거구(월곶동, 군자동, 정왕본동, 정왕1동, 정왕2동) 국민의힘 시흥시의원 후보로 출마한 기호 2-나번 안기호 입니다. 

저는 평범한 시민이었습니다. 2009년 7월 사람 냄새 풍기는 동네를 만들어보겠다는 마음으로 주민자치위원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아파트와 주택이 혼용된 거모동과 정왕동 지역은 해가 갈수록 성장보다는 둔화가 지속됐습니다. 주민자치위원으로 활동하며 화합과 소통의 자리를 많이 만들어 냈습니다.

마을 축제와 문화 공연을 통해 주민들이 더 많은 이웃을 만들 수 있도록 했습니다. 2019년 시흥시 주민자치협의회 회장을 하며 오지랖 넓게 주민자치 필요성과 강화를 촉구했습니다.

시흥은 꿈을 이룰 수 있는 도시입니다. 그 꿈은 혼자만의 꿈이 아닌 모두의 꿈입니다. 능력과 자질이 부족해도 특정 정당 공천만 받으면 당선되는 곳이 시흥입니다.

그 결과, 시민보다 정당에 충성하는 의원들이 많아졌습니다. 시장부터 국회의원, 도의원, 시의원까지 특정 정당 소속이 싹쓸이하고 있다면 시민보다 정당 목표를 향한 일방독주 기관차일 뿐입니다.

정치는 균형이 필요합니다. 의석도 균형 잡힌 의석이 되어야 합니다. 숫자가 많다는 이유로 소통하지 않고 일방통행하면 안 됩니다.

시민 혈세를 허투루 사용하지 않도록 견제해야 합니다. 국민의힘 후보에게도 기회를 주십시오. 저 안기호는 시민에게 충성하겠습니다.

오직 시민, 오직 시흥 오로지 시민의 뜻에 따라 움직이는 아바타가 되겠습니다. 안기호의 힘은 시민의 힘입니다.

시민의 힘은 시흥의 힘입니다. 내 삶을 바꾸는 시의원, 안기호에게 힘을 주십시오. 작은 소리도 크게 듣겠습니다. 지역의 가치를 높이겠습니다.


[주요공약]
▲군자동: 거모택지지구 시흥형 도시구축, 문화복지센터 건립
▲월곶동: 월곶역세권 교통허브 조성
▲정왕동: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 추진, 하천 생태복원 및 친수공간 조성
▲정왕역 역세권 활성화 추진, 토취장 V-CITY 조기 개발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화호 조성 30주년 앞둔 시흥시, 환경교육 성과 공유 [시흥타임즈] 시흥시 지난 6일 시흥에코센터에서 150여 명의 환경교육공동체(단체), 환경교육 협력기관, 강사, 환경교육위원회와 함께 ‘시흥시 환경교육 성과 공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국가환경교육센터가 발표한 ‘시흥시의 환경교육도시 지정 의미와 지향점’을 시작으로 올해 시흥시의 환경교육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시는 올해 환경부로부터 ‘환경교육도시’와 ‘환경교육사 양성기관’으로 지정된 데 이어 ‘탄소중립 체험관 개선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9억 8천만 원을 확보했다. 올 한 해 시흥시의 환경교육 성과는 2021년 11월 ‘환경교육도시 시흥’을 선언하며 ‘미래세대가 더 나은 환경에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환경교육도시’로 발돋움하고자, 다양한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협력한 환경교육 활동가(단체)와 함께 이뤄낸 공동의 결실이라 그 의미가 더욱 값지다. 시는 환경교육도시 지정에 따라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추진할 ‘환경교육도시 정책 방향 및 운영계획’을 발표하고, 전략 수립 간담회를 개최해 ▲지역자원을 활용한 특화프로그램 개발 ▲마을환경교육과정 개발 및 시흥형 에코마을 조성방안 ▲학교 환경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