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양치기 소년' 돼버린 '정치'에게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21대 국회의원선거가 40여일도 채 남지 않았다. 각 당은 국회의원 후보 공천 작업을 마무리 하고 본격적인 선거 레이스에 돌입하는 모양새다. 

그러나 공천에 대한 문제는 지역사회에 수많은 갈등과 반목, 불신을 남겼다. 

지난 5일 민주당은 시흥(을) 지역구에 출마한 조정식, 김윤식, 김봉호 예비후보를 경선을 거쳐 후보로 확정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하루가 지나기도 전에 결과는 번복됐다. 민주당은 조정식 현 국회의원이 당 정책위의장으로 추경심사를 해야 하기에 경선이 어렵다며 조 의원을 단수 공천한다고 전날의 발표를 뒤집었다. 

문제는 ‘누가 공천을 받느냐’가 아니라 ‘공당인 민주당의 태도’에 있다. 공천에 대한 원칙을 분명히 밝힌 당에서 하루 만에 결과를 번복하는 것이 과연 ‘공정’을 외치며 국민의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정당이 보여야 할 모습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일은 물론 민주당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때그때 달라지는 각 정당들의 원칙과 해괴한 거짓말들은 정치를 혐오의 대상으로, 또 불신의 대상으로 몰아넣는 그들의 자충수다. 따라서 정치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국민을 탓할 일은 결코 아닐 것이다. 

이솝우화에 나오는 ‘양치기 소년’은 “늑대가 나타났다!”고 세 번 거짓말 했다. 그러다 어느 날 정말로 늑대가 나타났지만 아무도 그의 말을 믿지 않았고 결과는 참혹했다. 소년의 모든 양들은 늑대에 잡아먹히고 말았다.

우리는 자라는 아이들에게 이 이야기를 들려주며 거짓말 하지 말라고 가르친다. 그러나 돌이켜 보면 그런 교훈을 줄 자격이 있는 어른들인지 부끄럽기 그지없다. 

정치가 국민의 신뢰를 얻고 지지를 받는 일은 어쩌면 간단하다. 거짓말 하지 말아야한다. 

당장의 이익이나 승리가 궁극적인 성공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 많은 역사적 사건과 사실들은 작은 이익을 탐하다가 나중에 큰 손해를 보고 후회하는 ‘소탐대실’에 대해 수없이 경고 하고 있다. 

정치권은 ‘소탐대실’을 염두에 두고 호흡을 가다듬어 길게 보는 안목과 여유가 필요했지만, 이번에도 그렇지 못했다. 

바닥 민심은 거듭되는 ‘거짓’으로 불신이 가득함에도 틀 안에 있는 정치인들은 이런 분위기를 감지하지 못하고 있다. 

정치에 있어서 목숨처럼 지켜야 할 원칙이 무엇인지, 그리고 각 정당이 말하는 ‘공정’과 ‘신뢰’ 란 무엇인지, 정치권은 스스로 되묻고 돌아야 봐야한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배곧 서울대병원 건립 지원, 찬반 갈등 속 표결로 통과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추진 중인 (가칭)시흥배곧 서울대학교병원 건립 지원이 막판까지 의견 대립을 겪은 끝에 시의회 본회의에서 표결로 통과됐다. [▶관련기사: 시흥배곧 서울대병원 건립 지원, 시의회 상임위 통과…본회의 의결만 남아] 16일 열린 시흥시의회 제32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시흥배곧 서울대학교병원 건립 지원을 위한 협약 체결 동의안’이 제적의원 16명 중 찬성 9명, 반대 6명, 기권 1명으로 가결됐다. 해당 동의안은 서울대병원이 요구한 병원 건축비 등 약 10%에 해당하는 587억 원을 시가 부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동의안은 지난 13일 자치행정위원회에서 찬반이 엇갈리며 찬성 3표, 반대 2표로 통과된 바 있다. 그러나 본회의에서도 찬반토론까지 이어지며 시의회 내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았고, 결국 표결에 따라 결정되는 양상으로 전개됐다. 찬성토론에는 서명범·김선옥·박소영·이상훈 의원이, 반대토론에는 성훈창·안돈의·박춘호·윤석경·이건섭·한지숙 의원이 나서 각각 주장을 펼쳤다. 이후 표결에선 민주당 소속 의원과 무소속 이봉관 의원이 찬성표를, 국민의힘 의원과 무소속 박춘호 의원이 반대표를 던졌다. 무소속 김찬심 의원은 기권했다. 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