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0℃
  • 맑음강릉 10.9℃
  • 맑음서울 3.3℃
  • 맑음대전 4.3℃
  • 맑음대구 5.3℃
  • 맑음울산 9.7℃
  • 맑음광주 4.8℃
  • 맑음부산 11.4℃
  • 맑음고창 6.1℃
  • 구름조금제주 11.6℃
  • 구름조금강화 2.4℃
  • 맑음보은 2.2℃
  • 맑음금산 -0.2℃
  • 맑음강진군 7.3℃
  • 맑음경주시 8.2℃
  • 맑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약한 고리부터 강하게"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지난 13일 150㎜의 집중호우가 시흥시 곳곳을 침수시켰습니다. 물론, 지난 과거의 수해 경험을 바탕으로 대비책을 세워둔 터라 2017년 대규모 수해 때와는 달랐습니다. 

그럼에도 취약한 지점은 여전히 물에 잠기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목감동 한 반지하 가정도 이날 하수가 역류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온 집안이 역류한 하수와 오물로 난장판이 된 와중에도 집안 식구들은 이상하게도 대수롭지 않은 듯 행동했다고 합니다. 

알고 보니 침수된 가정 네식구 중 아버지를 제외한 세명은 지적장애를 앓고 있어 대처가 쉽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침수 소식을 접한 시흥시청 직원들과 적십자회 등에서 이들을 구제하기 위해 나섰고 여러 가지 지원을 했습니다. 

사각지대에 있던 위기가정이 발굴되어 앞으로는 더 촘촘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지만, 긴 사연을 듣는 내내 가슴이 아팠습니다. 

쇠사슬의 강도는 가장 튼튼한 고리가 아니라 가장 약한 고리에서 결정됩니다. 둑도 가장 약한 부분에서 터지게 되어있습니다. 전체의 능력이 가장 약한 부분에 의해 결정된다는 ‘미니멈의 법칙’은 여러곳에서 실존하는 이론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지역의 능력 역시 가장 약한 부분을 기준 삼아야 합니다. 아무리 높고 멋진 건물과 넓은 도로, 쾌적한 공원이 있다한들 사각지대에 소외된 채 방치되는 시민들이 존재한다면 그 지역의 평가는 추락할 것입니다. 

단 한사람, 단 한가정도 고난의 사각지대에 머무르지 않게 하는 일, 힘들고 어려운 일이고 지금도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치와 행정의 바탕이 높고 넓고 화려한 도시만을 쫓는 것이 아니라 약한 고리를 튼튼하게 만드는 공공성의 철학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을 새삼 강조하고 싶습니다. 

시흥은 앞으로 더 발전할 것이고 더 화려해질 것입니다. 그 빛에 가린 그늘이 늘어나지 않아야겠습니다. 

20일 개회한 제300회 시흥시의회 본회의에서 신임 송미희 의장은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나중에 즐거워한다.”는 뜻의 “선우후락(先憂後樂)”이란 말을 꺼냈다고 합니다. 

위정자들이 가져야할 마음가짐인 이 사자성어를 가슴에 새겨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인다면 시흥은 분명 1등 도시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백 명을 기쁘게 하는 일과 한 명을 외롭지 않게 하는 일이 나란히 있을 때 후자를 선택하는 용기도 필요합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미디어

더보기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 시흥시 노인 일자리 등 참여자 6053명 모집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2024년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참여할 어르신 6,053명을 오는 6일부터 15일까지 모집한다. 이 사업은 어르신들의 사회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소득 보충과 건강 증진을 통해 노인 문제를 예방하고자 시행되고 있다.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진행되는 이번 사업의 모집 유형은 ‘공익활동,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 알선형’ 등 4가지로 나뉜다. 먼저 4,427명을 선발하는 ‘공익활동’은 지역사회 공익 증진을 위해 참여하는 봉사활동으로 65세 이상 근로 능력이 있는 기초연금 수급자가 참여할 수 있다. ‘등하교 안전지킴이’를 비롯해 환경을 생각하는 ‘자원 재사용 지원단’과 ‘실버그린 실천단’, ‘폐의약품 수거단’ 사업에서 참여자를 모집한다. 65세 이상(일부 60세 이상) 어르신이 참여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형’은 876명을 모집하고, 월 60시간 활동하면 최대 76만 원의 활동비를 받을 수 있다. 치매 노인의 안부를 확인하고 말벗을 해주는 ‘시니어치매서포터즈’와 각종 설문조사 등의 업무를 진행하는 ‘시니어 설문조사 사업단’ , 각종 사회복지시설 등에 파견돼 근무하는 사업이 있다. 60세 이상 어르신이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