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0.5℃
  • 맑음강릉 7.1℃
  • 구름많음서울 3.1℃
  • 흐림대전 3.1℃
  • 맑음대구 1.3℃
  • 맑음울산 4.7℃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4.4℃
  • 흐림고창 2.3℃
  • 구름많음제주 10.7℃
  • 흐림강화 2.6℃
  • 흐림보은 -1.2℃
  • 흐림금산 0.7℃
  • 맑음강진군 2.2℃
  • 맑음경주시 -1.6℃
  • 맑음거제 2.5℃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밥 대신 라면"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다양한 이유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이 기댈 곳은 그리 많지 않다. 다행히 시흥시는 학교밖 청소년 지원센터가 있어서 이들의 자립을 돕고 자체적으로 교육도 벌이고 있다. 

그런데 올 8월 이곳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지급되는 급식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문제는 이번에 처음이 아니라는 것이다. 작년 7월과 8월 이미 동일한 일을 겪었다. (관련기사: 시흥시 학교밖 청소년들, "8월 한 달 라면으로 끼니 때웠다")

이유는 예산 부족. 이 같은 일은 이미 예견 되어 있었다.  학교밖 지원센터는 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늘어나면서 예산 소진이 빨랐고, 이에 따라 급식이 중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정부에 예산 증액을 요구했었지만 동결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사이 기관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에겐 8500원짜리 밥 대신 컵밥과 라면이 제공됐다. 그것이라도 고맙다고 했을 아이들에게 마음이 쓰인다. 

2024년 세계 경제순위 10위권인 대한민국에서 아이들에게 밥 한끼 줄 돈이 없다는 게 참담하다. 

더불어 정부나 위정자들이 학교밖 청소년들을 대하는 태도가 불편하다. 취재를 하면서 만난 한 시민은 "학교 안에서 급식 중단 사태가 벌어졌다면 나라에 난리가 났을 것"이라고 했다. 

어느 하나 소중하지 않은 청소년이 있는가 묻고 싶다. 

이곳을 찾는 청소년들 중엔 시대에 뒤처지는 공교육 속 지루한 교육보단 자신만의 미래를 위해 학교를 이탈한 청소년들이 있을 것이다. 또 반대로 불우한 환경에서 학업을 이어나가지 못하는 아픈 사연도 있을 것이다. 기관에서 지급하는 한 끼가 하루의 전부일 수도 있다는 것은 짐작 가는 상황이다. 

정부나 지자체의 "예산이 없어서"라는 말이 참으로 개탄스럽다. "표가 되지 않는 이들에겐 쓸 예산이 없다"는 말로 들린다. 

근래에 들어 시흥시는 없던 철도가 놓이고 장대 같은 아파트가 곳곳마다 올라갔다. 또 바이오 첨단 산업단지와 해양레저 클러스터를 통해 대한민국 제일 도시를 꿈꾸고 있다. 

시흥시의 이 같은 비전은 시민으로서 응원하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얼마 전 거북섬에선 폭죽을 쏘아 올리며 축제도 벌였다. 많은 시민이 기뻐했다. 

그러나, 그러나, 그 뒤편엔 밥 대신 라면과 컵밥으로 끼니를 때우는 청소년들이 있었다. 그 나라, 그 도시의 수준은 가장 약한 이들에게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고 했다. 

임병택 시흥시장에게 부탁한다. 

‘백 명을 기쁘게 하는 일과 한 명을 외롭지 않게 하는 일이 나란히 있을 때 후자를 선택하는 용기’를 보여달라고.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민주노동자 시흥연대, “노동전담부서 신설하라”… 시흥시에 강력 촉구 [시흥타임즈] 민주노동자 시흥연대가 시흥시와 시흥시의회에 노동전담부서 신설을 촉구하고 나섰다. 단체는 지난 18일 시흥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흥에는 25만 명의 노동자가 있지만 노동정책은 여전히 기업 중심에 머물러 있다”며 노동자를 직접 지원하는 행정체계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민주노동자 시흥연대는 특히 시흥시가 최근 재입법예고한 「시흥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서 당초 포함됐던 ‘노동지원과’ 신설안이 삭제된 데 대해 “노동자의 현실과 시민 요구를 외면한 행정 결정”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시흥시는 전국 평균보다 긴 근로시간(주 39.5시간)에도 불구하고 월평균 임금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314.9만 원에 머무는 등, 노동환경이 열악한 산업도시로 꼽힌다. 영세사업장이 많은 탓에 산재 위험 역시 높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노동계는 “기업지원 중심의 기존 정책으로는 시흥시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노동전담부서 신설을 통해 노동정책·산업안전·노사협력 등 전반에서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흥시는 지난 10월 23일 공개한 입법예고안에서 경제국 내 ‘노동지원과’ 신설을 포함해 노동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