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밥 대신 라면"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다양한 이유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이 기댈 곳은 그리 많지 않다. 다행히 시흥시는 학교밖 청소년 지원센터가 있어서 이들의 자립을 돕고 자체적으로 교육도 벌이고 있다. 

그런데 올 8월 이곳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지급되는 급식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문제는 이번에 처음이 아니라는 것이다. 작년 7월과 8월 이미 동일한 일을 겪었다. (관련기사: 시흥시 학교밖 청소년들, "8월 한 달 라면으로 끼니 때웠다")

이유는 예산 부족. 이 같은 일은 이미 예견 되어 있었다.  학교밖 지원센터는 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늘어나면서 예산 소진이 빨랐고, 이에 따라 급식이 중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정부에 예산 증액을 요구했었지만 동결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사이 기관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에겐 8500원짜리 밥 대신 컵밥과 라면이 제공됐다. 그것이라도 고맙다고 했을 아이들에게 마음이 쓰인다. 

2024년 세계 경제순위 10위권인 대한민국에서 아이들에게 밥 한끼 줄 돈이 없다는 게 참담하다. 

더불어 정부나 위정자들이 학교밖 청소년들을 대하는 태도가 불편하다. 취재를 하면서 만난 한 시민은 "학교 안에서 급식 중단 사태가 벌어졌다면 나라에 난리가 났을 것"이라고 했다. 

어느 하나 소중하지 않은 청소년이 있는가 묻고 싶다. 

이곳을 찾는 청소년들 중엔 시대에 뒤처지는 공교육 속 지루한 교육보단 자신만의 미래를 위해 학교를 이탈한 청소년들이 있을 것이다. 또 반대로 불우한 환경에서 학업을 이어나가지 못하는 아픈 사연도 있을 것이다. 기관에서 지급하는 한 끼가 하루의 전부일 수도 있다는 것은 짐작 가는 상황이다. 

정부나 지자체의 "예산이 없어서"라는 말이 참으로 개탄스럽다. "표가 되지 않는 이들에겐 쓸 예산이 없다"는 말로 들린다. 

근래에 들어 시흥시는 없던 철도가 놓이고 장대 같은 아파트가 곳곳마다 올라갔다. 또 바이오 첨단 산업단지와 해양레저 클러스터를 통해 대한민국 제일 도시를 꿈꾸고 있다. 

시흥시의 이 같은 비전은 시민으로서 응원하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얼마 전 거북섬에선 폭죽을 쏘아 올리며 축제도 벌였다. 많은 시민이 기뻐했다. 

그러나, 그러나, 그 뒤편엔 밥 대신 라면과 컵밥으로 끼니를 때우는 청소년들이 있었다. 그 나라, 그 도시의 수준은 가장 약한 이들에게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고 했다. 

임병택 시흥시장에게 부탁한다. 

‘백 명을 기쁘게 하는 일과 한 명을 외롭지 않게 하는 일이 나란히 있을 때 후자를 선택하는 용기’를 보여달라고.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배곧 서울대병원 건립 지원, 찬반 갈등 속 표결로 통과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추진 중인 (가칭)시흥배곧 서울대학교병원 건립 지원이 막판까지 의견 대립을 겪은 끝에 시의회 본회의에서 표결로 통과됐다. [▶관련기사: 시흥배곧 서울대병원 건립 지원, 시의회 상임위 통과…본회의 의결만 남아] 16일 열린 시흥시의회 제32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시흥배곧 서울대학교병원 건립 지원을 위한 협약 체결 동의안’이 제적의원 16명 중 찬성 9명, 반대 6명, 기권 1명으로 가결됐다. 해당 동의안은 서울대병원이 요구한 병원 건축비 등 약 10%에 해당하는 587억 원을 시가 부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동의안은 지난 13일 자치행정위원회에서 찬반이 엇갈리며 찬성 3표, 반대 2표로 통과된 바 있다. 그러나 본회의에서도 찬반토론까지 이어지며 시의회 내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았고, 결국 표결에 따라 결정되는 양상으로 전개됐다. 찬성토론에는 서명범·김선옥·박소영·이상훈 의원이, 반대토론에는 성훈창·안돈의·박춘호·윤석경·이건섭·한지숙 의원이 나서 각각 주장을 펼쳤다. 이후 표결에선 민주당 소속 의원과 무소속 이봉관 의원이 찬성표를, 국민의힘 의원과 무소속 박춘호 의원이 반대표를 던졌다. 무소속 김찬심 의원은 기권했다. 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