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밥 대신 라면"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다양한 이유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이 기댈 곳은 그리 많지 않다. 다행히 시흥시는 학교밖 청소년 지원센터가 있어서 이들의 자립을 돕고 자체적으로 교육도 벌이고 있다. 

그런데 올 8월 이곳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지급되는 급식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문제는 이번에 처음이 아니라는 것이다. 작년 7월과 8월 이미 동일한 일을 겪었다. (관련기사: 시흥시 학교밖 청소년들, "8월 한 달 라면으로 끼니 때웠다")

이유는 예산 부족. 이 같은 일은 이미 예견 되어 있었다.  학교밖 지원센터는 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늘어나면서 예산 소진이 빨랐고, 이에 따라 급식이 중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정부에 예산 증액을 요구했었지만 동결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사이 기관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에겐 8500원짜리 밥 대신 컵밥과 라면이 제공됐다. 그것이라도 고맙다고 했을 아이들에게 마음이 쓰인다. 

2024년 세계 경제순위 10위권인 대한민국에서 아이들에게 밥 한끼 줄 돈이 없다는 게 참담하다. 

더불어 정부나 위정자들이 학교밖 청소년들을 대하는 태도가 불편하다. 취재를 하면서 만난 한 시민은 "학교 안에서 급식 중단 사태가 벌어졌다면 나라에 난리가 났을 것"이라고 했다. 

어느 하나 소중하지 않은 청소년이 있는가 묻고 싶다. 

이곳을 찾는 청소년들 중엔 시대에 뒤처지는 공교육 속 지루한 교육보단 자신만의 미래를 위해 학교를 이탈한 청소년들이 있을 것이다. 또 반대로 불우한 환경에서 학업을 이어나가지 못하는 아픈 사연도 있을 것이다. 기관에서 지급하는 한 끼가 하루의 전부일 수도 있다는 것은 짐작 가는 상황이다. 

정부나 지자체의 "예산이 없어서"라는 말이 참으로 개탄스럽다. "표가 되지 않는 이들에겐 쓸 예산이 없다"는 말로 들린다. 

근래에 들어 시흥시는 없던 철도가 놓이고 장대 같은 아파트가 곳곳마다 올라갔다. 또 바이오 첨단 산업단지와 해양레저 클러스터를 통해 대한민국 제일 도시를 꿈꾸고 있다. 

시흥시의 이 같은 비전은 시민으로서 응원하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얼마 전 거북섬에선 폭죽을 쏘아 올리며 축제도 벌였다. 많은 시민이 기뻐했다. 

그러나, 그러나, 그 뒤편엔 밥 대신 라면과 컵밥으로 끼니를 때우는 청소년들이 있었다. 그 나라, 그 도시의 수준은 가장 약한 이들에게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고 했다. 

임병택 시흥시장에게 부탁한다. 

‘백 명을 기쁘게 하는 일과 한 명을 외롭지 않게 하는 일이 나란히 있을 때 후자를 선택하는 용기’를 보여달라고.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도시공사, 시민소통위원회 3차 간담회 개최 [시흥타임즈] 시흥도시공사(사장 유병욱, 이하 공사)는 지난 16일 시흥시 해양생태과학관에서 시민과 공사 임직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시민소통위원회 3차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민소통위원회는 행정과 시민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 시민의 생생한 의견을 공사 주요 사업에 반영하는 데 핵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7월 개관한 시흥시 해양생태과학관에서 개최되었다. 참석자들은 해양동물 전시시설과 교육공간 등을 함께 둘러보는 기회도 가졌다. 이날 공사는 거북섬 활성화를 위한 그간의 노력에 대해 공유하였으며, 관광사업 관련 시민 의견도 청취하였다. 또한 사업장 시설 및 프로그램 개선 관련 다양한 아이디어도 함께 나눴다. 특히 시민이 직접 제안한 사업을 공사 예산에 반영하는 ‘시민제안예산 제안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8건의 사업에 대해 심의가 이뤄졌다. 향후 시민제안예산위원회 의결을 거쳐 2026년도 실제 사업에 반영할 예정이다. 이날 시민들과 소통의 시간에서는 시민위원의 공사에 대한 질의에 임직원이 직접 답변하면서 상호 이해와 공감의 폭을 넓히며 그 의미를 더했다. 유병욱 사장은 “시민 여러분의 목소리는 공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