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5.5℃
  • 구름많음강릉 24.3℃
  • 흐림서울 27.2℃
  • 구름조금대전 28.4℃
  • 흐림대구 27.3℃
  • 구름조금울산 24.9℃
  • 구름많음광주 28.0℃
  • 구름조금부산 26.2℃
  • 구름많음고창 27.0℃
  • 맑음제주 28.8℃
  • 흐림강화 25.5℃
  • 구름많음보은 25.7℃
  • 구름많음금산 26.4℃
  • 맑음강진군 27.6℃
  • 구름많음경주시 26.1℃
  • 맑음거제 25.9℃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참혹한 세월을 멈출 기회, ‘투표’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지방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며칠 후면 지역의 일꾼들이 결정되고 또 그들이 향후 4년간 지역에서 일하게 됩니다.

중차대한 시간이 다가오면서 불안함이 엄습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지방자치가 시작된 지 30여년이 다 돼가지만 지방은 실질적 자치보단 중앙에 흔들리고 권력을 잡은 소수의 강자들만이 득세하는 암흑 같은 시기를 보내왔습니다.

선거 때만 되면 시민을 섬기겠노라고 종이 되겠노라고 굽신 거리다 가도 당선이 되자마다 슈퍼 갑으로 변하는 꼴을 우리는 너무 쉽게 봐왔고 또 으레 그러려니 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달라져야 합니다. 무엇보다 시민을 두려워하고 자신의 사익보다 다수의 시민들이 행복해지기를 바라는 ‘공심’ 있는 사람이 선택돼야 합니다.

예전에 비해 나라는 부강해지고, 교육의 질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수많은 다수의 시민들은 삶의 고통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권력을 잡은 소수의 잘못된 정치인들이 시민을 위해 일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오는 13일 치러지는 지방선거는 이런 악습을 철폐하는 이정표가 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이번 한번만으로 골목과 지방, 나라가 바뀌진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공정한 기회가 보장되지 않았던, 또 억울한 일을 당하고도 소리조차 내지 못하는 지난날을 기억한다면 이번 지방선거는 그것을 원래 위치로 돌려놓는 걸음이 되어야 합니다.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휴지통에 들어간 후보자 공보물 이라도 다시 꺼내들어 시민과 골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지역의 일꾼을 잘 판별해야 합니다. 

누가 만인을 위해 일할 사람인지, 또 그런 자격이 있는 사람인지 소상히 살펴 지난날의 어두운 과오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그 권리를 행사해야 합니다. 

시민들은 특별한 것을 바라는 것이 아닙니다. 골목골목에서 작은 원칙들이 공정하게 지켜져서 공평한 기회가 보장되고 소외되는 사람이 없는 그런 시흥시를 바랄 뿐입니다. 

이제 최종 선택지가 눈앞에 왔습니다. 시민들 스스로 골목과 지역에 햇빛을 비추어 참혹한 세월을 멈추게 해야 합니다. 

우리가 생각한 최선의 사람이 없다면 최악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투표에 참여하시길 바랍니다. 기회는 이번뿐입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시, 전 직원 대상 다큐멘터리 영화 ‘수라’ 상영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지난 8월 29일과 9월 1일 이틀에 걸쳐 전 직원을 대상으로 다큐멘터리 영화 ‘수라’를 상영했다. 황윤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수라’는 간척사업으로 사라져가는 갯벌을 살리기 위한 사람들의 노력을 담은 작품이다. 감독은 말라가는 갯벌에서도 생명력을 잃지 않은 도요새와 검은머리갈매기, 흰발농게를 통해 희망을 이야기한다.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 경쟁 부분에서 처음 상영됐고, 서울독립영화제 장편 경쟁 부분에서는 관객상을 받았다. 사람에 의해 파괴되는 자연의 모습과 그로 인해 변해가는 주변의 삶, 이를 복원하려는 또 다른 사람들의 노력까지. 영화가 보여주는 현실은 시흥시를 둘러싼 시화호의 지난날과 똑 닮아있다. 1987년, 농어촌진흥공사가 당시 바다였던 시화호 지역에 방조제를 설치해 간척사업을 진행했다. 1994년 방조제가 준공되고 바닷물이 차단되면서 주변 오폐수 등이 그대로 축적된 시화호는 환경오염의 대명사로 일컬어졌다. 시화호를 복원하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된 이후, 정부는 담수화 계획을 포기하고 해수 순환을 시작했다. 현재 시화호는 이전 생태환경을 99.9% 회복한 상태다. 멸종위기종을 비롯해 수리부엉이, 노랑부리저어새 등 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