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1.3℃
  • 구름많음강릉 16.6℃
  • 맑음서울 13.5℃
  • 맑음대전 11.1℃
  • 맑음대구 13.6℃
  • 박무울산 11.4℃
  • 구름조금광주 13.9℃
  • 맑음부산 13.9℃
  • 구름조금고창 9.1℃
  • 구름많음제주 16.1℃
  • 맑음강화 13.3℃
  • 구름많음보은 8.7℃
  • 맑음금산 8.0℃
  • 구름조금강진군 10.7℃
  • 구름조금경주시 11.6℃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참혹한 세월을 멈출 기회, ‘투표’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지방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며칠 후면 지역의 일꾼들이 결정되고 또 그들이 향후 4년간 지역에서 일하게 됩니다.

중차대한 시간이 다가오면서 불안함이 엄습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지방자치가 시작된 지 30여년이 다 돼가지만 지방은 실질적 자치보단 중앙에 흔들리고 권력을 잡은 소수의 강자들만이 득세하는 암흑 같은 시기를 보내왔습니다.

선거 때만 되면 시민을 섬기겠노라고 종이 되겠노라고 굽신 거리다 가도 당선이 되자마다 슈퍼 갑으로 변하는 꼴을 우리는 너무 쉽게 봐왔고 또 으레 그러려니 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달라져야 합니다. 무엇보다 시민을 두려워하고 자신의 사익보다 다수의 시민들이 행복해지기를 바라는 ‘공심’ 있는 사람이 선택돼야 합니다.

예전에 비해 나라는 부강해지고, 교육의 질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수많은 다수의 시민들은 삶의 고통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권력을 잡은 소수의 잘못된 정치인들이 시민을 위해 일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오는 13일 치러지는 지방선거는 이런 악습을 철폐하는 이정표가 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이번 한번만으로 골목과 지방, 나라가 바뀌진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공정한 기회가 보장되지 않았던, 또 억울한 일을 당하고도 소리조차 내지 못하는 지난날을 기억한다면 이번 지방선거는 그것을 원래 위치로 돌려놓는 걸음이 되어야 합니다.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휴지통에 들어간 후보자 공보물 이라도 다시 꺼내들어 시민과 골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지역의 일꾼을 잘 판별해야 합니다. 

누가 만인을 위해 일할 사람인지, 또 그런 자격이 있는 사람인지 소상히 살펴 지난날의 어두운 과오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그 권리를 행사해야 합니다. 

시민들은 특별한 것을 바라는 것이 아닙니다. 골목골목에서 작은 원칙들이 공정하게 지켜져서 공평한 기회가 보장되고 소외되는 사람이 없는 그런 시흥시를 바랄 뿐입니다. 

이제 최종 선택지가 눈앞에 왔습니다. 시민들 스스로 골목과 지역에 햇빛을 비추어 참혹한 세월을 멈추게 해야 합니다. 

우리가 생각한 최선의 사람이 없다면 최악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투표에 참여하시길 바랍니다. 기회는 이번뿐입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경찰서, 스쿨존 등에서 음주단속 벌여 222명 적발 [시흥타임즈] 시흥경찰서가 지난 달 13일부터 이달 7일까지 25일 동안 주·야간 음주운전 단속을 벌인 결과 면허 정지 138명, 취소 84명 등 222명을 적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스쿨존에서 단속된 사람도 5명이나 됐다. 이번 특별단속은 지난달 대전에서 발생한 스쿨존 어린이 사망사고 등 잇따른 스쿨존 음주사고에 사회적 우려가 높아지면서 운전자들의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실시된 것으로, 지난 4월 13일부터 5월 31일까지 7주간 교통순찰차 3대, 싸이카 3대를 투입해 단속을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시흥경찰서는 어린이 교통 사망사고 예방을 위해 스쿨존 캠페인 및 대낮 스쿨존 음주단속 등 안전활동을 강화했다. 시흥서는 지난 9일 산현초등학교에서 스쿨존 음주운전 근절 합동캠페인 및 통학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운전자들에게 ‘스쿨존 음주운전 근절’ 등 교통안전 메시지를 전달하는 홍보 활동과 통학로 교통안전 시설 현장점검을 진행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노주영 시흥경찰서장을 비롯해 김수연 시의원, 산현초등학교장, 녹색어머니회, 모범운전자회 등 유관기관 관계자 60여 명이 참석했다. 시흥경찰서는 ‘음주운전은 언제 어디서든 단속 될 수 있으며, 반드시 단속된다’ 인식 확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