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1.5℃
  • 구름조금강릉 14.6℃
  • 구름많음서울 14.4℃
  • 구름많음대전 11.3℃
  • 구름많음대구 12.5℃
  • 구름많음울산 14.2℃
  • 구름많음광주 16.0℃
  • 구름조금부산 18.1℃
  • 흐림고창 12.8℃
  • 흐림제주 20.8℃
  • 구름많음강화 13.2℃
  • 구름많음보은 9.1℃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조금강진군 14.5℃
  • 구름많음경주시 10.8℃
  • 구름많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출신이란 무엇인가”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지난 21일 열린 시흥시의회 임시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복희 의원이 한 5분 발언으로 지역이 ‘갑론을박’ 시끄럽다.

그가 주장한 주요 내용 중 한 부분을 요약하면, 김태정 부시장이 충청권 출신이라 주요 부서장의 ‘출신’이 충청권에 편중돼 있고, 이것이 우연이냐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공직자들의 출신을 나열했다. 고위직 3급 1명 충청, 4급 11개중 충청2명, 영남 5명, 호남 1명, 기타 3명...5급 주요부서장 9개자리 중 6개가 충청, 6급 상당 주요보직 21개 중 17명이 충청.

필자로썬 이런 지역 나누기식의 지적과 반론이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다. 어느 곳 출신이 요직에 있다는 것이 그리 중요한 일인가 되묻고 싶다.

이러한 나열은 오히려 지역갈등을 유발하는 좋지 못한 지적이라는 것을 다시 지적하고 싶다. 

공직이나 사회가 능력으로 인재를 공정하게 평가해야 함에도 아직도 출신을 따지고 있다니 개탄스럽다. 

부시장이 충청권 출신이라 충청권 고위직이 많다는 것은 이해하기도, 동의하기도 어렵다. 그가 제시한 4급 국장 11개 자리 중 충청권 출신은 2명뿐이다.

그리고 주요보직이라고 말한 자리는 어느 자리인지 심히 궁금하다. 주요보직에 속하지 못한 공직자는 출신이 별반 중요하지 않다는 말로 들린다.

필자는 이날 이 의원의 발언을 전해 듣고 깊은 갈등에 빠졌다.

아버지는 충청도, 어머니 경기도, 장인․장모는 전라도 출신이고, 본인은 서울에서 태어나 시흥에서 중․고등학교를 다녔고 서울에서 대학을 나왔다. 중․고등학교 땐 경상도와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아는 사람 중 한명은 서울에서 태어났는데 아버지가 모 지역 출신이라 모 향우회에 가입했다고 했다. 

본인 역시 갖다 붙이면 인연 없는 지역이 없는데, 그렇다면 나는 어디 출신인가. 어디 출신이라고 갖다 붙여야 빛을 본단 말인가.

KTX를 타고 달리면 수 시간 내에 도달하는 안 그래도 좁은 땅덩어리에서 살면서, 정치인으로써 굳이 지역갈등을 유발하는 출신 나열식 지적을 했어야 했는지 궁금하기만 하다. 

그가 종국적으로 부시장의 행태와 능력을 지적하고 싶은 것에 방점이 있었다면, 이런 식의 지적은 하지 말았어야 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가 주장한 본질이 지역갈등은 아니었길 바랄뿐이다. 

이제 누군가가 어느 곳 출신이냐고 물으면 이렇게 말하라 “출신이란 무엇인가”

또 출신이 인사에 중요한 평가요소라서 그렇다고 하면 이렇게 되물어라 “인사란 무엇인가”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미디어

더보기
1일부터 반려동물 진료비 부담 완화…부가세 면제 항목 확대 [시흥타임즈] 1일부터 반려동물 진료 항목 100여개에 대해 진료비 부가가치세가 면제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9월 27일 반려동물 진료비 부가세 면제 확대 시행을 위해 이날 관련 고시를 개정·공포했다. 이번 고시 개정에 따라 그동안 질병 예방 목적의 일부 진료항목에 대해서만 부가세를 면제하던 것을 앞으로는 치료 목적의 진료항목까지 포함해 면제 대상을 대폭 확대한다. 이번 확대 적용하는 부가세 면제 대상 진료항목에는 진찰·투약·검사 등 기본적인 진료행위와 구토, 설사, 기침 등 증상에 따른 처치, 외이염, 아토피성 피부염, 결막염, 무릎뼈 탈구 수술, 발치, 스케일링 등 진료분야별 다빈도 질병을 폭넓게 포함했다. 동물의료업계에서는 부가세 면제 확대 고시 시행에 따라 부가세 면제 수준이 진료매출 기준으로 현행 40%에서 90% 수준까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김현우 농식품부 반려산업동물의료팀장은 “진료비 부가세 면제 확대 적용을 통해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진료비 부담이 상당히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장에서 혼선 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과세당국 및 동물의료계와 긴밀히 협조해 홍보와 이행 점검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