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기자수첩] "여기, 우리가 있다"

개인이 몇 년째 운영하고 있는 무허가 유기견 보호소가 있습니다. 누군가에 의해 버려진 수백 마리의 개와 고양이가 이곳에서 키워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보호소가 자리잡은 곳은 목감천변 하천부지 국가땅입니다. 시는 하천관리에 문제가 있으니 나가라고 합니다. 여러 번 나가라고 통보 했으니 자의적으로 나가지 않으면 대집행, 즉 철거하겠다는 원칙도 통보했습니다. 이제 시일이 다가왔습니다.
법의 형평성과 질서유지 차원에서 눈감아 줄 수 없는 시 정부의 입장도 이해 갑니다.
그러나 이 시설을 철거하기에 앞서, 또 철거하라고 수차례 통보하기에 앞서 수백 마리가 넘는 유기견을 어떻게 처리 할 것인지 제대로 된 논의나 있었는지는 의문입니다.
시흥시 관내에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유기견 보호소는 이곳이 유일 합니다. 시는 유기견이 발견되면 인근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보호소로 비용을 주고 보냅니다.
시가 다 처리하지 못하는 유기견은 암암리에 이곳으로 옵니다. 날마다 늘어나는 이곳의 유기견을 어떻게 처리할지 시는 현재 어떤 구체적인 답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혹자는 유기견 보호소 운영자가 개를 볼모로 삼아 버티고 있다고 말 합니다. 이에 대해 원씨가 대답합니다. "국가 땅이니 나가라면 나가야죠. 그런데 이렇게 많은 유기견을 두고 시설만 철거해 버리면 개들은 또 어떻게 합니까. 다시 거리에 버려지게 되는 것 아닙니까"
개를 볼모로 삼은 게 아니라 나가고 싶어도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도 모르고 뽀족한 대책도 없던 건 아닐까요. 국가나 시가 해야 할 일을 개인이 국가땅에서 한 탓, 늘어나는 유기견을 처리할 시 정부의 아무런 대책도 없는 상황에서 개인의 불법이라고 치부해버리기엔 사회적 관심과 공익적인 면이 너무 커져버린 상황.
유기견 보호소 취재를 마치고 나오는 길에 수십 마리의 개들이 달라붙어 옷을 물고 혀로 핥습니다. 자신들을 외면하지 말라는 듯 계속 짖어댑니다.
버려진… 그리고 어쩌면 또 버려질 운명의 개들.
유기견들이 외치는 것 같습니다.
"여기, 지금 우리가 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시, 관내 모든 학교와 ‘시설 개방’ 협약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학교 체육관 및 운동장 등 공공 체육시설 개방 확대를 위해 관내 94개 모든 학교와 ‘학교 시설 개방 활성화 협약’ 체결을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시흥시-시흥교육지원청-학교-시흥시체육회’와 함께 지역사회 체육 활동 공간 확대와 교육공동체 협력을 위해 추진됐다. 시는 2022년 8월 학교 시설 개방 활성화를 위한 최초 협약을 시작으로, 지난해 9월에는 협약 연장을 통해 관내 94개교 중 85개교가 재참여했다. 이후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미협약 상태였던 9개교도 협약에 참여함으로써 시흥시 관내 모든 학교와의 협약이 마무리됐다. 협약에 추가로 참여한 학교는 배곧라라초ㆍ중, 서해초, 소래초, 시화나래초ㆍ중, 시화초, 군서고, 서해고 등 9개교다. 시는 협약을 통해 2년간 학교 개방에 따른 공공요금, 시설 보수비 등 운영비와 개방을 위한 시설개선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학교 시설을 지역사회에 개방함으로써 시와 지역 주민, 학교가 상생하는 공동체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됐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관내 모든 학교와의 협약 체결은 지역사회와 학교 간 신뢰와 협력의 결실인 만큼, 학교가 지역의 열린 공간으로 자리매김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