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6.1℃
  • 맑음강릉 13.0℃
  • 맑음서울 7.1℃
  • 맑음대전 7.9℃
  • 맑음대구 9.2℃
  • 맑음울산 13.0℃
  • 구름조금광주 8.3℃
  • 맑음부산 12.5℃
  • 맑음고창 9.3℃
  • 구름많음제주 13.1℃
  • 맑음강화 6.1℃
  • 맑음보은 7.1℃
  • 맑음금산 8.4℃
  • 구름많음강진군 11.3℃
  • 맑음경주시 12.0℃
  • 맑음거제 10.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행사장만 누비는 정치인들

[시흥타임즈=우동완 편집장]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밴드 등 SNS로 전해지는 소식들은 참 흥미롭고 유익한 것들이 많습니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것도 있지만 SNS가 일상화된 사회에서 그 정도 판단은 사용자의 몫이기도 합니다. 

요즘은 지방선거에 출마할 예비후보자들이 앞 다투어 자신의 SNS에 올리는 사진과 글에서 선거가 임박해 있음을 더 느낍니다.

그들의 소모적인 행사장 인증샷 경쟁이 선거가 끝나는 즉시 조용해지겠지만 그저 씁쓸한 것은 꼭 그렇게 행사장 사진만 올려야 하는가 입니다.

그리고, 행사장이 아니면 자신을 알리고 ‘정치’를 이야기 할 곳이 없는지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행사에 많이 참석하는 것이 정치인으로써 그리고 후보로써의 가치를 판단 받는 척도는 아닐 겁니다.

정치인들이 행사장에서 만나는 유권자들 보다 얼굴도 모르고 한번 만나보지도 못하는 유권자가 전체 유권자의 90%는 넘을거라 예상합니다.

자신이 선출되길 절박하게 바라는 후보자의 마음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지역의 대표를 꿈꾸는 이들이 행사장을 많이 돌아다니는 것으로 평가를 받고자 하는 것엔 실망감이 듭니다.

지금 시대의 시민들은, 후보자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 가, 그의 가치가 우리 시대의 가치와 부합하는가, 그리고 지역의 문제를 알고 그 문제의 해결책과 비전은 있는 가, 등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그 사람이 오늘 몇 군데 행사장을 누볐을까 하는 것엔 사실 큰 관심이 없습니다.

지역의 골목을 누비며 시민들이 부당하고 불편하다고 느끼는 것들의 문제점을 체크하고, 시대의 담론을 담아 치열하게 토론하고 비전을 제시하는 그런 정치인은 정말 없는 것인지 그저 답답할 따름입니다. 

하긴, 유력 정당 후보들은 정당 입맛에 맞춰 공천만 받으면 선거 끝이니, 일반시민들이 안중에나 있는지 의문이지만 그래도 구태적인 시골 행사장 정치는 이제 스스로 그만할 때가 아닌지 묻고 싶습니다.

정당 역시 시대와 시민을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탐구하는 후보자를 공천하길 권합니다. 그것이 자신들의 정권 연장과 권력 투쟁에 더 유리할 겁니다. 왜냐하면 지금의 시대정신이 예전의 구태 정치를 반복하는 인물은 안 된다고 확실히 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시대의 흐름과 여론을 정작 정치인들은 모르고 있고, 시민들만 느끼고 있다는 것이 그저... 안타까울 뿐입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미디어

더보기
‘깨끗한 경기 만들기’ 시흥시 최우수 지자체 선정 [시흥타임즈] 경기도가 주관한 ‘2023년 깨끗한 경기 만들기’ 시ㆍ군 평가에서 시흥시가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돼 사업비 1억 5천만 원을 확보했다고 4일 밝혔다. 경기도는 깨끗하고 쾌적한 거리환경 조성과 생활폐기물 감량을 위해 도내 31개 시ㆍ군을 대상으로 매년 인구 규모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눠 생활폐기물 감축에 대한 다양한 시책과 성과를 평가한다. 올해는 시ㆍ군별 특수시책, 우수사례 정성평가와 생활폐기물 분야 정량 부문 4개 평가시책 분야 14개 지표에 대해 평가했다. 시흥시는 4개 평가시책 분야 14개 지표의 정량평가와 외부 전문가, 시ㆍ군 공무원이 참여하는 우수사례 경진대회 정성평가를 합산한 결과, 인구수 11위~20위에 해당하는 10개 시가 참가한 B그룹에서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됐다. 시는 지난 1년간 깨끗한 도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본청과 동 행정복지센터 협업 체계를 기반으로 한 ‘행복홀씨 입양사업’, ‘도로 관찰제’ 운영을 비롯해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감축하고 재활용률을 높일 뿐 아니라, 불법행위를 예방하는 단속과 홍보를 강화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시흥시의 이번 성과는 더욱 값지다. 지난해 하위권이었던 시는 LG화학, 시흥도시공사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