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0℃
  • 맑음강릉 6.1℃
  • 맑음서울 2.4℃
  • 맑음대전 1.8℃
  • 맑음대구 5.1℃
  • 맑음울산 3.7℃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6.1℃
  • 맑음고창 3.1℃
  • 구름많음제주 11.0℃
  • 맑음강화 0.0℃
  • 맑음보은 -1.4℃
  • 맑음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6.3℃
  • 맑음경주시 -0.7℃
  • 맑음거제 3.7℃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공(非)감

최근 인터넷 기사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시흥타임즈 역시 아무래도 지면보다는 인터넷 기사에 대한 역할적 분담이 조금은 높은 상황이다. 가끔 편집국에서는 인터넷에 기사를 송고한 후 조회수를 보면 당황할 때가 많다. 기자 스스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사가 생각보다 조회수가 안 나올 때가 있고, 정작 별 내용 아닐 것이라는 기사가 생각 이상의 조회수가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조회수가 좋은 기사라는 연관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시민들의 관심에 부응하는 기사를 써야한다는 기본 취지를 생각한다면 무시할 수도 없는 부분이다.

이런 상황을 보면서 '공감되는 기사'라는 부분에 고민하기 시작했다.

시민들이 '공감'하는 것은 무엇일까.

물론 인터넷 기사에 나오는 조회수를 보고 결론을 내리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시흥시민들 역시 우리 국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내용과 크게 다를 바 없었다.

지역 사건사고에 관심이 높고, 연예·문화 기사에 호응하며, 생활 주변에 벌어진 이야기들에 공감을 나타냈다. 그에 반해 행정적인 부분에서는 그다지 호응을 얻지 못했다.

질문이 던져졌다.

우리 신문은 시민들로부터 '공감'을 받고 있을까. 또한, 시흥시의 행정은 시민들로부터 '공감'을 얻어내고 있을까.

아마 지역언론이 공감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은 시민의 이야기를 최대한 담아야 가능할 것이라는 아주 단순한 명제에 직면한다. 그렇지 못하면 공감을 얻기 힘들다. , 그 속에서 시민이 몰랐던 것을 발굴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이기도 하다.

한편, 시흥시의 행정은 어떨까. 아마 이에 대한 답변은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같은 사안이라고 하더라도 부정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결국 더 많은 사람들이 호응을 할 경우 그 사안이 공감을 얻었다고 결론 내려진다. 최근 시흥시에서는 몇 가지 사안에 대해 '공감'이라는 부분에 직면하고 있다. 시가 추진하는 거의 모든 사업들이 이러한 부분에 직면하고 있겠지만, 그 것을 풀어가는 방식은 각자 다양하다.

이번 시흥타임즈 제5호에 게재되는 기사들 중에는 이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이야기들이 몇 가지가 있다. 이 기사 내용에 대한 '공감'은 독자 즉, 시민들이 한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민주노동자 시흥연대, “노동전담부서 신설하라”… 시흥시에 강력 촉구 [시흥타임즈] 민주노동자 시흥연대가 시흥시와 시흥시의회에 노동전담부서 신설을 촉구하고 나섰다. 단체는 지난 18일 시흥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흥에는 25만 명의 노동자가 있지만 노동정책은 여전히 기업 중심에 머물러 있다”며 노동자를 직접 지원하는 행정체계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민주노동자 시흥연대는 특히 시흥시가 최근 재입법예고한 「시흥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서 당초 포함됐던 ‘노동지원과’ 신설안이 삭제된 데 대해 “노동자의 현실과 시민 요구를 외면한 행정 결정”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시흥시는 전국 평균보다 긴 근로시간(주 39.5시간)에도 불구하고 월평균 임금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314.9만 원에 머무는 등, 노동환경이 열악한 산업도시로 꼽힌다. 영세사업장이 많은 탓에 산재 위험 역시 높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노동계는 “기업지원 중심의 기존 정책으로는 시흥시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노동전담부서 신설을 통해 노동정책·산업안전·노사협력 등 전반에서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흥시는 지난 10월 23일 공개한 입법예고안에서 경제국 내 ‘노동지원과’ 신설을 포함해 노동계의